Programming147 윈도우 속도 빠르게 하기 (Windows 10 기준 성능향상 시키기) 컴퓨터 속도를 올리는 방법은 아무래도 CPU, 그래픽카드, RAM 등의 하드웨어를 고스펙 사양으로 올려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하지만 일반적인 경우 하드웨어를 새로 사서 다시 갈아 끼우는 것이 부담된다. 따라서 적절히만 사용하면 현재의 하드웨어에서 가장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다. 며칠 전 포스팅했던 구글 크롬 빠르게 하기 라는 포스팅에서도 실행 옵션을 조금만 바꿔준 것이지만 확실히 인터넷 속도가 빨라졌으며 우리는 꼭 기본 세팅을 안건들일 이유는 없다. 윈도우 10(Windows 10) 기준으로 컴퓨터의 성능을 올리는 방법을 설명하려고 한다. 윈도우 성능 향상시키기 2편 바로가기 클릭 1. 컴퓨터 재부팅하기아무래도 컴퓨터를 오랫동안 안끄면 켜있는 동안 사용되었던 프로그램(프로세스)들이 메모리(RAM).. 2018. 5. 9. Windows 10 부팅 USB 만드는 방법 (무료) 현재 나는 windows 10 home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언젠가는 윈도우를 포맷해야 할 상황이 생길 것이다.조만간 포맷을 할 것 같고 그때를 대비해서 포맷용 windwos 10 부팅 USB를 만들어 놓을 것이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준비물은 넉넉하게 8GB 이상 USB를 준비하도록 하자. 그리고 USB 포맷을 한번 깔끔하게 해주도록 하자. 먼저 다음 링크를 들어가서 지금 도구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다.>> 마이크로소프트 링크로 이동 2018. 5. 7. 운영체제 임계구역, 세마포어, 뮤텍스, 교착상태에 대하여.. 동기/비동기 프로그램 예제 (count 프로그램) 대학교에서 운영체제를 배울 때 가장 중요하게 배우는 지점이 바로 임계 구역 관련한 부분이다. 영어로는 Critical Section이라고 하며 뜻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마포어(semapore)와 뮤텍스(mutex)의 개념을 알고 가자. 뮤텍스(mutex) 스레드들 간에서 공유가 배제되는 객체. 파일과 같은 공유 자원이 수행 중 오직 한 프로그램이나 스레드에게만 소유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그 자원에 대한 뮤텍스 객체를 생성시킨다. 뮤텍스가 비신호 상태이면 프로그램은 자원을 점유하여 사용한 후 이를 반환하고, 다른 프로그램 또는 다른 스레드가 자원을 사용 중 즉, 뮤텍스가 신호 상태이면 대기 상태로 들어가 끝나기를 기다린다. 뮤텍스는 여러 면에서 크리티컬 섹션과 비슷하고, 대신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름.. 2018. 4. 29. [정보보안기사 대비] 용어 정리 9 정보보안기사 및 정보보안산업기사를 취득하기 위해서 알아두면 좋은 용어 모음이다. 바이러스 (Virus)바이러스는 MS워드나 엑셀과 같이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일종이다. 그러나 다른 유용한 프로그램들과 달리 자기 복제를 하며, 컴퓨터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작업을 지연 또는 방해하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악성 프로그램에는 컴퓨터 바이러스 외에도 웜, 트로이목마 등이 있다. 컴퓨터 바이러스에 '바이러스'란 이름이 붙은 것은 컴퓨터 바이러스에 생물학적인 바이러스와 같은 자기 복제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바이러스 프로그램이라는 말을 사용했으나 매크로와 스크립트를 이용한 바이러스들이 많이 나타남에 따라 바이러스 코드로 그 의미를 확장시키기도 한다. 컴퓨터 바이러스가 모두 직접적인 피해를 가져오는 것은.. 2018. 4. 29.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37 다음